성폭행을 당하는 사람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성폭행은 아주 어린 소년이나 소녀로부터
80세 할머니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다양합니다.
성폭행을 하는 사람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명심합니다. 많은 경우 성폭행은 아는 사람이 행하며, 평소에
이상한 행동을 하지 않는 사람 들인 경우가 많습니다. 오히려 친절하고 예의바른 경우가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외딴 골목길을 혼자 걸어가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환승역이나 지하주차장 같은 곳을 갈 때는 친구나 혹은 다른 행인과
함께 가는 것이 좋습니다.
승용차 열쇠나 아파트 열쇠 같은 것은 항상 유사시에 신속히 꺼낼 수 있도록 준비해놓습니다.
집에 있을 땐 항상 문을 잠그고 낯선 사람은 절대 문안에 들여놓지 말아야 합니다.
자신의 주변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신의 직관(느낌)을 믿어야 합니다. 느낌이 이상하다 싶으면 얼른 행동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이 불안을 느낄
때면 언제든지 그 자리를 피하거나 도망을 가는 등의 행동을 취해야 합니다. 괜히 소란을 피우는 것 같아 망설이다 보면 기회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성폭력을 당하는 것보다 소란을 피우는 게 더 낫습니다.
자신 있게 행동해야 합니다. 가해자들은 대부분 소극적이고 자신감 없는 여성을 노립니다.
성폭행 행동의 기미를 빨리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타인이 자신의 신체를 만졌을 경우 좋은 느낌과 싫은 느낌을 분명히 지각할 수 있어야 합니다. 상대가 싫은 느낌을 주는
신체적 접촉을 해 올 때는 단호히 싫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성과 술을 마실 때에는 분위기에 휩쓸려 자신의 통제를 잃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성폭행을 계획하는 사람들의
행동은 자세히 살펴보면 자연스럽지 않은 데가 있습니다. 무언가 앞뒤가 맞지 않고 인위적인 데가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이면
알아차릴 수도 있습니다.
성폭행이나 성추행을 하려는 기미가 있으면 상대방 눈을 똑바로 쳐다보면서 이성적인 화제를 꺼내 대화를 시도하거나 아니면
기지를 발휘해 잠깐 볼일을 보고 오겠다고 말하고 자리를 피하도록 합니다. 이때 가방이나 소지품을 그 자리에 놓아둠으로써
상대방을 안심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위급 상황일 경우는 집기나 가재도구를 들어서 창문을 깨뜨림으로써 외부에 알리는 방법이 좋습니다. 골목길이라면 돌멩이를
집어들어 남의 집 창문을 깨뜨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성폭력 대응방법
증거를 잘 보관합니다.
몸을 씻지 않은 채로 옷을 갈아입지 말고(48시간내에) 가까운 산부인과병원으로 달려갑니다.
성폭행을 당한 자리도 그대로 둡니다.
증거품을 보관할 때는 종이가방을 사용합니다. (비닐봉투에 보관하면 증거물이 변질될 우려가
있습니다.)
산부인과병원으로 달려갑니다.
의료상 보호를 받을 수 있으며 임신, 신체 내 이상 등을 검사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 발견되는 피나 정액은 범인식별 및 유죄의 증거가 됩니다.
진단서를 끊어둡니다.
<증거재취와 의료진찰을 받으셔야만 하는 이유>
어떠한 부상이라도 당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 흔히 사건 후, 피해자는 정신적 충격때문에
어떤 부상을 당했는지 모를 수가 있습니다.
성병이나 임신여부, 또 상처에 대한 두려움을 덜어주고 혼란한 정신을 수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됩니다.
임신이나 성병의 유무를 검사받고, 예방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강간범이 잡혔을 때 재판에 필요한 의학적인 증거를 모으기 위하여 이러한 자료들은 가능한 빨리
수집되어야만 합니다. 왜냐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먹고, 마시고, 소변보고, 목욕하는 등 등의 매일의 생활을
통해서 없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주위에 도움을 청합니다.
혼자 있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가족이나 친구집 등 안전한 장소로 피하세요.
강간직후 목격자를 확보하거나 누군가에게 알려두면 법정에서 증인으로 부를 수도 있습니다.
성폭력상담소나 보호시설을 찾습니다.
신고는 빠를수록 좋습니다.
가능한 한 빨리 경찰에 신고합니다.
남자경찰관이 싫다면 여자경찰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진술시 자세한 기록을 남기되 강간과 직접 관계되지 않은 질문에는 대답하지 않으셔도 됩니다.